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국내(카카오맵,네이버지도)/문화재3

조선왕릉 Part 3 (서울이외 지역)_ 23.01.19 [출처-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, 국가문화문화유산 포털,카카오맵,구글맵] Part 3 - 서오릉 [경기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334-32 소재] 1. 창릉 (동원이강릉) - 제8대 예종 : 왼쪽 - 안순황후 (예종왕비2) : 오른쪽 1469(예종1) : 예종 사망 후 다음해 의경세자의 릉인 현위치인 경릉 북쪽에 조성함. 1498(연산군4) : 안순왕후 사망후 현위치에 조성함. 2. 경릉 (동원이강릉) - 서오릉의 첫 조성된 릉 - 추존 덕종 (의경세자 - 제7대 세조의 아들 / 제9대 성종의 아버지) : 오른쪽 - 소혜황후 (추존 덕종왕비) : 왼쪽 1457(세조3) : 왕세자 신분으로 덕종 사망 후 의묘(懿墓)가 조성함. 성종이 왕위 오르면서 경릉으로 격상됨. 1504(연산군10) : 소혜왕후 .. 2023. 1. 19.
조선왕릉 Part 2 (동구릉+서울지역)_ 23.01.18 [출처-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, 국가문화문화유산 포털,카카오맵] Part 2 - 동구릉 [경기 구리시 동구릉로 197 소재] 1. 건원릉 (단릉) - 제1대 태조 1408(태종8) : 건원릉 조성함. 태종이 태조의 고향인 함흥의 억새를 가져다가 능 봉분에 심음. 당초 태조는 신덕왕후의 정릉에 같이 묻히길 바랬으나 태종이 유언을 따르지 않음. 2. 현릉 (동원이강릉) - 제5대 문종 : 왼쪽 - 현덕왕후 (문종왕비) : 오른쪽 1441(세종23) : 단종 출산하고 산후병으로 현덕왕후 사망 후 안산의 소릉(昭陵) 조성함. 1452(문종2) : 문종 사망 후 현릉으로 조성함. 세조 즉위 후 단종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폐위함. 1512(중종7) : 현덕왕후 복위함. 1513(중종8) : 현덕왕후 능 위치.. 2023. 1. 18.
조선왕릉 Part 1 (전체)_ 23.01.13 [출처-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, 국가문화문화유산 포털] 왕릉 분포도 (총42기 남한:40기 / 북한 : 2기) Part 1 - 왕릉의 위치 능역은 도성에서 10리(약4km)이상, 100리(40km)이하의 구역에 만들어여 함(경국대전) - 왕릉의 형식 1. 단릉 - 한 언덕 위에 하나의 능 조성 2. 쌍릉 - 한 언덕 위에 두개의 단릉 조성 3. 합장릉 - 한 언덕 위에 하나의 능에 두사람 안장되어 조성 4. 동원이강릉 -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두개의 언덕위에 각각 단릉으로 조성 5. 삼연릉 - 한 언덕 위에 세개의 단릉 조성 6. 동원상하릉 - 한 언덕 위에 단릉이 위아래로 조성 - 왕릉의 구조(진입 순서에 따라 구성) 1. 금천교(산자와 죽은자의 경계선) - (그림22) 2. 홍살문 - (그림2.. 2023. 1. 13.
반응형